홈으로
  • 프린트하기
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
  • 작성일2024-06-14
  • 작성자산림생태복원과 / 김진숙 / 042-481-8812
  • 조회57
  • 음성듣기
    음성듣기

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 이미지1 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 이미지2


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
- 지리산 산불피해지 식생 동·식물상 등 회복력 모니터링 추진

산림청(청장 남성현)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의신마을에서 지리산 산불피해지 산림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전문가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경남 하동군 일원은 지리산국립공원, 백두대간보호지역 등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지난해 3월 11일 발생한 산불로 인해 축구장 180개 크기(129ha)의 산림이 소실됐다. 산림청은 올해 1월 해당지역의 산림생태복원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경상남도·하동군 지역주민, 시민단체, 산림복지지원센터, 국립산림과학원 등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해 산림생태복원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산불피해지 모니터링 조사 범위 및 기준, 조사체계, 병해충 예찰·방제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림청은 지리산 산불피해지 식생과 동·식물상 조사, 자연회복력 평가를 통해 식생 쇠퇴, 재해우려 등 환경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조속한 생태계 회복을 위한 관리 방안 마련에 활용할 계획이다.

허남철 산림청 산림생태복원과장은 “백두대간, 자연공원 등 보호구역은 자연적·인위적 훼손이 발생할 경우 더욱 체계적으로 보전·복원해 나가야 한다”라며, “이번 모니터링을 통해 지리산 산림생태계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첨부파일
  • 사진1. 지리산 산불피해지 모니터링 현장토론회.jpg [5.5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사진2. 지리산 산불피해지 모니터링 현장토론회.jpg [6.8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240613) 보도자료-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hwp [456.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240613) 보도자료-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hwpx [512.5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240613) 보도자료-지난해 대형산불로 소실된 지리산 산림생태계 회복 방안 논의.pdf [164.6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