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
  • 작성일2024-05-28
  • 작성자연구기획과 / 이수연 / 02-961-2582
  • 조회191
  • 음성듣기
    음성듣기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 이미지1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 이미지2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 이미지3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 이미지4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
-국립산림과학원, ‘전통 종이의 가치 조명과 활용‘ 국제심포지엄 개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5월 28일(화), 우리나라 한지를 포함한 유럽과 사마르칸트 전통 종이의 가치 조명과 활용을 위한 국제심포 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심포지엄을 주최한 국립산림과학원은 1990년대 초반부터 한지의 과학적 연구 를 수행하며, 한지의 대중화와 산업 적용성 향상을 선도해 왔다. 최근에는 태 지, 시지, 아청지(감지) 등 사라져가는 전통 한지 제조 기술의 복원 연구와 더불어 한지 원료 수종인 닥나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생산성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우량 닥나무종 발굴과 재배 기술을 연구 중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전통 종이 전문가들과 한지의 문화와 산업 그리고 학문적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개최되었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베를린 국립아시아미술박물관의 Meejung KIM-MARANDET, 우즈베키스탄 국립도서관의 Shukhratillo Zikrilloevich Pulatov, 미국 Magnolia editions 아트센터의 Donald Farnsworth 등의 각국 종이 전문가들이 각각 ‘유럽 속 한지 예술품의 복원’, ‘사마르칸트 종이’, ‘르네상스 시 대의 서화용지’에 대한 주제로 발표하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정선화 박사, 국립산림과학원 이형 원 박사가 국내 전통 한지 연구에 대해 발표하였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국민대학교 김형진 교수와 조현진한지연구소 조현진 박사, 국립산림과학원 이오규 박사가 참석하여 전통 종이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서정원 소장은“이번 국제심포지엄은 세계의 전통 종이를 이해하고 우리나라 전통 종이인 한지를 알릴 수 있는 뜻 깊은 행사였다”라며 “국내외 전문가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앞으로도 한지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 (보도자료) 국립산림과학원 각국 전통 종이 분야 국제심포지엄 개최.hwp [300.5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국제심포지엄에 축사를 한 이배용 한지살리기재단 이사장과 남성현 산림청장이 한지전시물을 둘러보고 있음 .jpg [11.7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전통 종이의 가치조명 활용 국제심포지엄 단체사진.jpg [7.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국제심포지엄 축사_남성현 청장.jpg [2.2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한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 환영사 모습.jpg [9.4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