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 프린트하기
국립수목원, 산림생물 지의류 신종 2종 보고
  • 작성일2024-06-10
  • 작성자연구기획팀 / 정현정 / 031-540-2037
  • 조회99
  • 음성듣기
    음성듣기
국립수목원, 산림생물 지의류 신종 2종 보고 이미지1

- 총 1,675종 40,954점의 국내 최대 지의류 표본 보유기관으로 우뚝 서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미개척 산림생물군인 지의류 연구를 통해 최근 바위딱지지의과의 2개 신종을 학계에 보고하였다고 밝혔다.

지의류(Lichen)는 곰팡이(Fungi)와 조류(Algae)가 함께 사는 ‘공생체’로 생태계의 ‘생산자’ 역할뿐 아니라 토양생성과정에도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는 중요한 생물군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연구자가 드물어 대표적인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었다.

국립수목원은 2010년부터 본격적인 지의류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번에 보고한 ‘바위딱지지의과’의 2개 신종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287종(신종 102, 미보고종 185)을 학계에 보고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번에 새롭게 보고한 신종은 바위딱지지의과(Acarosporaceae)에 속하는 아카로스포라 백녹담엔시스(Acarospora beangnokdamensis)와 사르코진 제주엔시스(Sarcogyne jejuensis)이다. 학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들은 제주에서 채집이 된 종들이다. 바위딱지지의과의 종들은 이름처럼 나무가 아닌 바위에 붙어서 생장하기 때문에 채집이 어렵고, 형태적으로 큰 특징이 없어서 분류·동정에 어려움이 많다. 실제 채집되었던 2014년 당시, 미동정 상태로 국립수목원의 산림생물표본관에 수장되어 있었다.

한편 국립수목원의 지의류 연구진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석조문화유산의 지의류 다양성 연구」 수행 중 수집된 표본과 산림생물표본관에 수장된 표본을 총 망라한 분류학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번에 보고한 2개 신종을 발굴할 수 있었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은 “산림생태계의 다양한 생물들은 하나하나 모두 중요하나 지의류와 같은 미개척 생물군은 그동안 등한시되었던 게 사실”이라며 “국립수목원은 국내 유일한 지의류 전문연구기관으로 앞으로 관련 연구의 저변 확대에도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첨부파일
  • [보도자료] 국립수목원, 산림생물 지의류 신종 2종 보고.hwpx [24.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보도자료] 국립수목원, 산림생물 지의류 신종 2종 보고.pdf [1.1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붙임자료] 국립수목원, 산림생물 지의류 신종 2종 보고.zip [6.0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 main.jpg [3.3 MB] 첨부파일 다운로드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